실규모 급경사지 붕괴모의 공개실험 참여안내
□ 실험 개요
○ 일시/장소 : ‘18. 9. 19.(수)예정 / 지반재난실험동 및 관제실
○ 주요 내용 : 세계최대급 경사 가변형 급경사지 대형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급경사지 붕괴실험 참여(참관 및 공동연구)
○ 참석 규모 : 약 30명 정도*(본부?연구원10, 참관10, 공동실험 및 자문10 등)
* 실험장소의 제약 및 참석자의 안전을 위해 부득이 한 경우 참석 규모 조정 가능
□ 참여 방법
○ 공개실험 참관 및 공동참여
구분
참여방법
공개실험 참관
- 대 상: 유관기관 종사자 및 전문가 등
- 인 원: 총 10명 정도
- 신청절차: 개인(대표자) 신청* 후 가능여부 검토 후 통보
공동참여 및 자문
- 대 상: 공개실험에 직접 참여를 원하는 기관 및 전문가
- 범 위: 계측기의 추가 설치를 통한 공동연구, 실험조건에 대한 자문 등 실험추진에 관한 전문사항
- 신청절차: 신청* 후 추가 기술협의에 따라 가능여부 결정 및 통보
* 붙임2의 참여 신청서 작성 후 공문 또는 이메일 신청
○ 참여관련 문의처
- 담 당: 방재연구실 지반재난실험팀 석재욱 시설연구사
- 연 락 처: 052-928-8463, stonely@korea.kr
□ 향후 계획
○ 참관, 공동참여 및 자문 수요조사 : 8. 27.(월)
○ 기술협의 및 공동연구방안 결정?통보 : 9월 초
○ 공개실험 시연 및 전문가 의견교환 : 9. 19.(수)예정
참고 1
실규모 급경사지 붕괴모의 공개실험 조건(안)
□ 실험 목적
○ 현장조건과 강우사상 재현을 통한 급경사지 표층붕괴 거동특성 분석
○ 실증실험기반 계측관리 기준(지표변위, 경사계 등) 정립
□ 강우 조건
○ 선행강우로 인한 포화상태 재현을 위해 지표면 포화조건 유지
○ 붕괴사례 및 기상자료 분석을 통한 강우조건 설정
- 충청내륙지역 급경사지 재해발생시점 강우자료(’99~’13) : 최대 82.5mm/hr
※ 2012.8.15. 충남 공주시 신풍면 일원 산사태 발생 시 1시간 강우량 자료
- 청주 집주호우 시 강우자료(’17.7) : 최대 91.8mm/hr(100년 빈도 이상)
<청주 관측소 강우기록 (7.1~7.16)>
⇒ 지형에 따른 유입량을 고려하여 100mm/hr로 선정
□ 모형단면 설계
○ (단면 설계)
<모형 급경사지 단면 설계>
○ (가상활동면) 한계평형해석법을 이용한 사전 수치해석 결과를 고려하여 급경사지 모형 축조시 가상활동면 중심으로 계측기 배치 계획 수립
○ (모형축조) 실험용 모형급경사지 조성 및 해체공사 발주를 통한 모형 축조
- 롤러 및 컴팩트를 이용한 층별다짐(50cm 두께, 총 21층) 수행
- 현장 지반특성 및 모형조성용 토사의 물리특성을 고려하여 모형 축조
□ 계측계획
○ 직접계측과 간접계측의 상호보완을 통한 급경사지 거동분석
※ (직접계측) 모형급경사지에 직접 설치하여 급경사지의 거동 특성 분석(간접계측) 영상분석 등 비접촉식 방법으로 급경사지의 거동 특성 분석
○ 적용 계측기 및 수량
구분
직접계측
간접계측
지표변위계
간극수압계
함수비센서
지표면 표식
CCTV
수량
6EA
6EA
6EA
63EA
2EA
- (지표거동) 지표변위 및 표점을 이용한 영상 분석(직접 및 간접계측)
- (침투거동) 지반 내 간극수압 및 함수비 변화 분석(직접계측)
□ 계측기 배치 계획도
<계측기 배치 계획도>
참고 2
급경사지 붕괴모의 실험장치 구성 및 제원
□ 급경사지 모형지반 조성용 토조
<실규모 급경사지 시뮬레이터 장비>
항 목
장비 제원
규 모
폭 4m, 길이 21m, 높이 2.5m
경사 범위
1번 토조: 0~5°, 2번 토조: 0~15°, 3번 토조:15~40°
<실규모 급경사지 시뮬레이터 장비 제원>
□ 강우 및 지하수위 재현 장치
항 목
장비 제원
강우량
10 ~ 250 mm/hr 재현, 10 mm/hr 단위로 조절
강우재현방식
· 재현 강우 : 유발 강우강도, 강우지속시간, 강우패턴
· 재현 조건 : 실험 사면의 전 영역을 강우로 포화, 전 영역에 걸쳐 동일한 강우가 적용
· 국지성 집중호우의 재현
· 현장 특성을 고려한 다수의 강우조건 재현
지하수위재현방식
· 재현 조건 : 실험 사면의 하부를 유량으로 포화시키고, 지하수위 조건을 재현
· 현장 특성을 고려한 다수의 유량조건 재현
· 지하수위 유량 계측
강우 및 지하수위 조정방법
· 실시간, 원격 조절
<인공강우 및 지하수위 재현장치의 제원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