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FA디자인포아시아 상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작성자 | 노** | 작성일 | 2023-05-11 | 조회수 | 272 | 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(5월 15일까지 조기접수 시, 접수비 50% 할인) DFA디자인포아시아 상 01. 소개 2023년 제20회를 맞이하는 “Design for Asia Award-아시아를 위한 디자인 상(DFA 어워드)”은 세계적인 디자인허브인 홍콩특별행정구(Hong Kong SAR) 정부기관인 ‘크리에이트 홍콩(CreateHK)’이 자금을 지원하는 국제 어워드로 아시아적인 관점에서 우수한 디자인을 선정해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해 만들어진 홍콩디자인센터의 주력 프로그램입니다. 2003년 시작된 이래, 해를 거듭할수록 전 세계 디자이너들의 관심을 받으며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습니다. 유력한 국제어워드의 심사위원을 포함하여 국제적 명성의 디자인 전문가들로 구성된 심사위원단은 전체적 디자인의 우수성, 아시아에서의 영향력, 사회적, 상업적 성공과 기술 적용성에 중점을 두고 수상작을 선정하고자 합니다.
02. 공모분야 :
03. 시상 : 8가지 상
※ 상기공모 분야에서 디자인의 우수성에 따라 금상, 은상, 동상, 우수상이 수여되며, 금상 수상작은 자동적으로 대상과 특별상(지속 가능 특별상, 기술 특별상, 문화 특별상)의 후보가 됨 [참고] 심사위원단은 각 수상분야에서 선정작의 개수를 정할 수 있으며, 심사위원의 판단에 따라 심사과정에서 출품작의 카테고리를 바꿀 수 있고, 적격자가 없을 경우, 수상작을 선정하지 않을 권한이 있음
04. 접수방법 ① 온라인 계정 개설 - DFA 웹사이트(www.dfaa.dfaawards.com)에 명시된 출품 조건(Terms&Conditions)을 읽은 후, 온라인 접수(Online Submission) 항목에서 계정 개설 ② 온라인 접수 - 온라인 접수 내용: (1) 작품에 대한 설명 (2) 작품 이미지 첨부 (최대 10장) - 작품에 대한 설명: (1)전체적인 디자인의 우수성, (2)기술 적용성, (3)아시아에서의 영향력, (4)상업적, 사회적 성공을 작성[(1)~(4)전부를 작성할 필요는 없음] ③ 접수료 결제 - 홍콩지역 외 참가자는 페이팔(신용카드), T/T 송금(수수료 HK$260 추가발생) 중 선택 - 한국지역 참가자는 신용카드 사용을 권장함 - 접수료는 08. 비용안내 참고 ④ 디자인 실물/제품 발송 (환경디자인 제외) - 디자인 실물/제품을 7월 8일 17:00까지 도착하도록 발송하되 특별한 사유로 늦게 도착한다면 한국사무소 이메일로 사전 연락 요망 - 첨부파일의 실물접수 가이드라인 참고하세요 - 접수 번호 라벨을 부착하여 디자인 실물 발송 (필수 사항) - 접수 번호 라벨을 부착하여 작품 설명 자료(패널, 보도 자료 등) 발송 (선택 사항) ※ 작품 설명 자료는 선택사항이나, 심사에 긍정적으로 반영됨 - 제출처: 실물접수 홍콩주소는 온라인접수 완료후 출력되는 라벨지에 나옵니다. (홍콩은 우편번호가 없습니다) ※ 해외운송에 소요되는 시간을 감안하여 온라인지원을 완료하는 즉시 실물 발송 요망 ※ 출품작 발송 및 회수(참가자가 원하는 경우만)에 따른 모든 비용은 출품자 부담 ※ 모든 제출물은 영어로 작성되어야 함
05. 주요일정 • 온라인 접수(출품료완납): 2023년 4월 1일 ~ 6월 30일 • 디자인실물 접수: ~2023년 7월 8일까지/부득이하게 늦게 도착하는 경우는 이메일로 한국사무소에 알려주세요 • 작품심사: 2023년 6-9월 중 • 수상자개별통보: 2023년 10월-11월 중 • 시상식: 홍콩에서 개최, 2023년 12월예정/ 실시간중계예정
06. 심사항목 • 전체적 디자인의 우수성 (창의성,혁신성/독창성/가용성/미학성/지속가능성) • 기술 적용성 • 아시아에서의 영향력 예 ) 아시아적인 라이프 스타일 차별화하고 활기를 불어넣었는가, 선구적 디자인인가? 아시아시장의 수요에 반응하는가? 차세대 아시아 디자이너와 트렌드에 영감을 주는 디자인인가? • 상업적, 사회적 성공 예) 매출과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소비자층을 확대했는가? 새로운 시장을 개발하고 생산성/수익을 높인 디자인인가? 아시아시장의 수요에 반응하고 사업상 업적을 달성했는가? 예) 회사이미지를 개선하거나,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키거나 사회통합에 도움이 되었는가? *상기의 모든 영역에 대한 우수성을 보는 것은 아닙니다. 예를 들어 비영리 디자인의 경우 상업적 성공은 특별하게 기술하지 않아도 됩니다.
07. 수상자 특전 • 12월 초 DFA 어워드 시상식 초청 : 홍콩에서 개최되는 시상식에 참가하여 다른 수상자들과 교류하고 협업하는 기회를 가지게 됩니다. • DFA 어워드도록 및 디자인 잡지 등을 통한 홍보 : DFA도록을 통해서 아시아 디자인의 기록물로 영구 보존됩니다 • DFA 어워드 인증 마크 사용 권리 부여 • 홍콩에 주요 백화점, 쇼핑몰에 DFA컨택스토어를 운영, 수상작의 연락처를 홍콩을 방문하는 주요바이어들에게 공유합니다 • 트로피(대상, 특별상, 금상, 은상, 동상 수상자에 한함)와 상장, DFA 어워드도록 수여 • 당해 홍콩 비즈니스 오브 디자인 위크(BODW: Business Of Design Week) VIP 패스 수여 : 수상작은 디자인 네트워킹 프로그램(BODW)에 초청되어 전세계 주요 디자인비지니스 리더들과 만나게 됩니다. • BODW를 포함한 디자인 포럼에서의 연사 초청 기회 • DFA 어워드 전시: 수상작은 1년 내내 홍콩디자인센터의 예산으로 아시아권의 주요 도시(도쿄, 홍콩, 서울, 타이난 등...)의 디자인 스팟에서 전시의 형태로 홍보되며 온라인전시를 통해서 상시로 전시형태로 노출됩니다.
08. 비용안내
※ 조기접수 기간동안 온라인에서 계정을 생성하고 임시 컨텐츠(임시 사진10장*, 임시 텍스트*)를 업로드 하시면 결재단계로 넘어갑니다. 결재를 미리 50%할인된 접수비로 마칠수 있습니다. 결재가 된 계정은 기존의 업로드 하신 임시컨텐츠는 마지막날까지 온라인 상에서 수시로 업데이트가 가능합니다. *임시 사진은 동일한 사진, 임시 텍스트는 동일한 텍스트로 진행가능.
09. 응모자격 • 2021년 1월 1일부터 2023년 5월 31일까지 아시아 1개국 이상에서 실제로 제작되어 출시된 모든 디자인을 대상으로 함 아시아 시장은 다음을 기준으로 함: - 중남 아시아: 아프가니스탄, 방글라데시, 부탄, 인도, 이란, 카자흐스탄, 키르기즈스탄, 몰디브, 네팔, 파키스탄, 스리랑카, 타지키스탄, 투르크메니스탄, 우즈베키스탄 - 동부아시아: 중국, 홍콩, 일본, 마카오, 몽골, 한국, 타이완 - 동남아시아: 브루나이, 캄보디아, 인도네시아, 라오스, 말레이시아, 미얀마, 필리핀, 싱가포르, 태국, 동티모르, 베트남 • 아직 개발 중이거나 출시되지 않은 시제품, 렌더링, 구상 중인 디자인은 출품 자격이 없음 • 디자인 소유권자, 디자인 의뢰 고객 또는 브랜드 소유권자, 디자이너 본인과 디자인 회사가 출품 가능 • 모든 참가자는 온라인 제출 양식상에 있는 참가와 관련한 모든 이용약관에 동의해야 함 • 자세한 사항은 DFA 어워드 홈페이지(http://www.dfaa.dfaawards.com) 참고 • 기타 온라인 접수관련 및 결재관련은 한국 공식 블로그 http://blog.naver.com/hkdc_korea 참고
Instagram @dfa_awards FACEBOOK https://www.facebook.com/HKDC.Awards/ WEIBO https://www.weibo.com/hkdesigncentre?is_all=1 YOUTUBE https://www.youtube.com/channel/UCBaeCWIZCAPnFd7BTadqUDg DFA온라인전시 https://hkdesigncentre.viewingrooms.com/viewing-room
*홍콩특별행정구는 이 프로젝트를 재정적으로만 후원하며 이 프로젝트에 나타난 어떠한 형태의 의견, 결론, 발탁, 추천에도 홍콩특별행정구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았음을 밝힙니다. 홈페이지 : https://dfaawards.com/en/ |